거의 모든 비즈니스가 디지털,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언택트 시대에서는 디지털 서비스가 최종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도달해야만 성공적인 비즈니스가 가능합니 다. 그렇기 때문에 웹, 모바일 웹과 앱, 그리고 CS 환경에서도 최종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페이지 로딩 시간에 대한 사용자 경험 정보를 파악하고 네트워크 및 스크립트 문제를 식별해 서비스 결함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최종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은 비즈니스 성과와 직결되는 성능관리 프로세스의 핵심입니다.
모바일 앱 각 화면의 의미와 가치는 사용자의 행동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이나 구매 등의 중요 이벤트에서 의도한 대로 사용자가 움직이는지, 예상치 못한 사용 패턴을 보이는지, 많이 등장하는 사용 패턴은 무엇인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면, 향후 지속 투자 가능한 포인트를 찾고 비즈니스를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앱에 대한 성능 부하가 거의 없이, 고객들의 행동 패턴을 단순 수치 뿐 아니라 히트맵, 스크롤 스펙트럼, 스크린샷 등의 시각화 된 정보를 통해 파악함으로써 사용자를 이해하고 고객 경험을 최적화하세요.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고, 더 많은 거래량을 발생시켜 더 많은 매출을 만들어내고자, e-커머스 및 리테일 기업은 경쟁적으로 가격을 할인하고, 하루에도 여러 번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합니다. 매번 새로운 상품과 기획으로 새로운 이벤트가 서비스되는 만큼, 그때마다 인프라를 확충하고 로직을 점검하고 테스트하면서 실제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진행되길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의욕적으로 준비한 이벤트와 프로모션이 오히려 고객의 이탈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기존의 구축된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 원하는 만큼의 시스템 리소스와 정해진 예산만을 활용해 다양한 이벤트를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시스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기업의 비즈니스 성과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원하는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클릭이나 터치를 했을 때, 네트워크 이슈나 대량 트랜잭션 폭주로 인해 무한 로딩 화면이나 오류 화면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몇 초의 딜레이로도 다수의 고객은 불편과 불만을 느끼며, 타 사이트로의 이탈을 시도합니다. 그러므로 고객의 행동에 즉각적이고 적극적인 응답을 제공해야 합니다. 최종 사용자 관점의 모바일 앱, 브라우저에서부터 각 네트워크 구간과 WAS 쿼리 구간까지 추적해 모니터링함으로써 서비스 지연에 대한 현상과 원인을 제대로 파악해 조치해야 합니다. 또한, 가용성을 초과하는 대량의 트래픽 폭주로 즉시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접속 대기 시간과 순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고객의 불안 요소를 제거해야 고객 만족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