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연일 우리 사회를 장악하고 있는 현재, 지역사회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상황 별 대응지침이나 확진자의 이동경로 파악 등 정확한 정보 전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불확실한 정보는 오히려 국민들의 혼란만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공공기관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공공기관은 정확한 정보전달을 통해 국민들의 알권리를 보장해야 합니다. 하지만, 대국민을 상대로 서비스하기에는 그 리소스와 예산이 너무 한정적입니다.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다른 곳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없습니다. 반드시 해당 기관을 통해야 하는 상황에서, 서버가 다운되고 서비스가 마비되는 등 장애가 발생하면 이는 크고 작은 민원은 물론, 전체 사회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전 국민을 상대로도 안정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선, 모든 사용자 관점의 서비스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슈를 먼저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무작정 시스템을 늘리기 보다는, 대량의 트랜잭션을 시스템 가용 범위 내로 제어해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솔루션을 통해 기 구축된 시스템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영할 방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국가에서 주도하는 지원 정책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혜택은 누구에게나 공정하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지원사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시작된 디지털 서비스가 공정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비스 오픈 시점에 사이트가 마비되어 언제 다시 재개될 지 모르는 상황에 그저 운 좋은 몇몇이 혜택을 받기도 합니다. 시스템의 가용성을 초과하는 대량의 접속 폭주를 제어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그들에게 공정한 순서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서비스 이용을 위해 클릭한 이용자 중, 시스템에서 동시에 처리 가능한 수 만큼의 이용자를 즉시 진입시켜 처리케 하고, 동시 처리 범위를 초과한 이용자는 클릭한 순서대로 대기를 시킬 수 있습니다. 대기 중에는 본인의 순서와 접속 예상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앞선 이용자가 빠져나가 본인의 순서가 되면 자동으로 진입 처리하여 공정한 서비스를 모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